맨위로가기

고교쿠 천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교쿠 천황은 비다쓰 천황의 증손녀이자 조메이 천황의 황후로, 일본 역사상 두 번의 재위 기간을 가진 여성 천황이다. 642년 소가 씨의 지원을 받아 즉위하여 4년간 통치했으며, 645년 소가노 이루카 암살 사건인 을사의 변으로 인해 동생 고토쿠 천황에게 양위했다. 이후 655년 사이메이 천황으로 재즉위하여 661년 사망할 때까지 통치했다. 재위 기간 동안 백제 부흥 운동을 지원했으며, 잦은 토목 공사로 백성들의 불만을 사기도 했다. 고교쿠/사이메이 천황의 묘는 나라현 아스카 마을의 겐고시즈카 고분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교쿠 천황 - 조메이 천황
    조메이 천황은 일본의 제34대 천황으로, 소가 씨의 지지를 받아 즉위하여 당나라와 교류를 시작하고 백제 문화를 장려하였다.
  • 고교쿠 천황 - 을사의 변
    을사의 변은 645년 소가노 이루카가 암살된 사건으로, 소가씨 멸망과 다이카 개신의 계기가 되었다.
  • 조메이 천황 - 다이안지
    다이안지는 639년 백제대사로 창건되어 대관대사를 거쳐 재건된 나라현의 사찰로, 난토 7대 사찰 중 하나였으나 수도 이전 후 쇠퇴, 현재는 중요 문화재와 사적지로 지정되어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661년 사망 - 태종무열왕
    태종무열왕은 신라의 29대 왕으로 삼국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고, 진골 출신으로 왕위에 오른 최초의 왕이자 당나라와의 외교를 통해 나당동맹을 맺고 백제 멸망에 기여했으며, 왕권 강화와 율령 제도의 기틀을 다지는 등 신라 중대 왕실의 기틀을 확립한 인물이다.
  • 661년 사망 - 도침
    도침은 백제 멸망 후 귀실복신, 부여풍과 함께 백제 부흥 운동을 일으켰으나 내분으로 복신에게 살해되었고, 이후 백강 전투에서 부흥 운동이 붕괴된 인물이다.
고교쿠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사이메이 천황 (『역대 백이십일 천황 어존영』에서)
칭호야마토 대왕
직위일본 여왕 (고교쿠, 첫 번째 통치)
재위642년 2월 19일 – 645년 7월 12일
이전 통치자조메이
다음 통치자고토쿠
직위1(사이메이, 두 번째 통치)
재위1655년 2월 14일 – 661년 8월 24일
이전 통치자1고토쿠
다음 통치자1덴지
직위2일본 황후
재위2630년 – 641년
재위 유형2임기
사후 칭호"중국식 시호:"
고교쿠 천황 (皇極天皇)
사이메이 천황 (斉明天皇)

"일본식 시호:"
아메토요타카라이카시히타라시히메노스메라미코토 (天豊財重日足姫天皇)
배우자다카무쿠 왕자
조메이 천황
왕가일본 황실
자녀다라 왕자
덴지 천황
하시히토 공주
덴무 천황
어머니기비츠히메 공주
출생명다카라 (宝)
출생일594년 8월 7일
출생지일본
사망일661년 8월 24일 (향년 66–67세)
사망 장소아사쿠라노미야
매장지오치노오카노에노미사사기 (越智崗上陵) (나라)
상세 정보
다카라 (宝)
한풍 시호고교쿠 천황 (皇極天皇) (제35대)
사이메이 천황 (斉明天皇) (제37대)
화풍 시호아메토요타카라이카시히타라시히메노스메라미코토
시대아스카 시대
수도아스카 궁
거주 궁궐고교쿠 천황:
1. 아스카 이타부키 궁
사이메이 천황:
1. 아스카 이타부키 궁
2. 아스카 가와하라 궁
3. 아스카 오카모토 궁
4. 아스카 다나카 궁
5. 아사쿠라 타치바나히로니와 궁
별칭해당 없음
생년서기 594년
몰년661년 8월 24일
능묘오치노오카노에 능
선대조메이 천황 (제34대)
고토쿠 천황 (제36대)
후대고토쿠 천황 (제36대)
덴지 천황 (제38대)
자녀가라 왕자
덴지 천황
하시히토 공주
덴무 천황
남편다카무코 왕
조메이 천황
아버지지누 왕 (민다쓰 천황 황손)
어머니기비히메 왕 (긴메이 천황 황손)
주석여제. 고교쿠 천황이 중조하여 사이메이 천황.

2. 생애와 즉위 배경

고교쿠 천황은 일본 역사상 두 번째 여성 천황이었다.[39] 비다쓰 천황의 증손녀이자 조메이 천황의 황후였다. 다카무쿠 친왕과 결혼하여 아들 가라 친왕을 낳았고, 이후 조메이 천황과 결혼하여 덴지 천황(나카노오에 황자), 덴무 천황(오아마 황자), 하시히토 황녀(고토쿠 천황의 황후)를 낳았다.

조메이 천황 사후, 642년에 고교쿠 천황으로 즉위하여 4년간 재위했다. 첫 번째 재위 기간 동안 소가 씨가 권력을 잡았으며, 643년에는 소가노 이루카가 야마시로노오에노 왕을 공격하여 자결하게 만들었다. 645년, 아들 나카노오에 황자가 을사의 변을 일으켜 고교쿠 천황 앞에서 소가노 이루카를 살해하자, 충격을 받은 고교쿠 천황은 고토쿠 천황에게 양위하였다.[37]

고토쿠 천황 사후, 덴지 천황은 즉위하는 대신 어머니를 '''사이메이 천황'''[39]으로 다시 즉위시키고 자신은 황태자로 남아 정치를 이끌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宝|다카라일본어(보) 공주는 비다쓰 천황의 증손녀이자 조메이 천황의 황후였다.[8] 덴지 천황(나카노오에 황자)과 덴무 천황(오아마 황자)의 어머니이기도 하다. 그녀의 휘(이름)는 다카라(宝)였다.[5][6]

다카라 공주는 비다쓰 천황의 손자인 지누 친왕(茅渟王)과 그의 비(妃)의 딸이었다.

그녀는 다카무쿠 친왕(高向王)과 결혼하여 아들 가라 친왕(漢皇子)을 낳았다. 이후 비다쓰 천황의 또 다른 손자인 다무라 친왕(田村皇子, 훗날 조메이 천황)과 결혼하여 하시히토 황녀(고토쿠 천황의 황후)와 훗날 덴지 천황이 되는 나카노오에 황자, 그리고 훗날 덴무 천황이 되는 오아마 황자를 낳았다.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첫 번째 남편다카무쿠 친왕(高向王)요메이 천황의 손자
아들가라 친왕(漢皇子)
두 번째 남편다무라 친왕(田村皇子)훗날 조메이 천황, 비다쓰 천황의 손자
아들나카노오에 황자(中大兄皇子)훗날 덴지 천황
하시히토 황녀(間人皇女)고토쿠 천황과 결혼, 665년 사망
아들오아마 친왕(大海人皇子)훗날 덴무 천황


2. 2. 고교쿠 천황 즉위 (642년)

조메이 천황641년 11월 17일에 붕어(사망)한 뒤, 후계자가 정해지지 않아 스이코 천황 때와 같이 중계 역할의 여성 천황으로서 642년 1월 15일에 '''고교쿠 천황'''(皇極天皇)으로 즉위했다. 당시 49세였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고교쿠 천황은 옛 관례에 따라 정치를 행했다.[21] 재위 중에는 소가노 에미시가 대신으로 존중받았고, 그의 아들 소가노 이루카가 스스로 국정을 맡았다.

고교쿠 천황 원년(642년) 3월 5일에는 아즈미노히라후가 백제의 조문 사신을 동반하고 귀국했다. 같은 해 5월 12일에는 추방된 백제의 왕족 교우키가 수행원을 데리고 일본을 방문했다. 같은 해 8월 22일에 백제의 사절, 헤이치샤쿠 등을 대접하고, 겐지에게 명령하여 교우키의 눈앞에서 스모를 하게 했다. 이것이 역사 기록상 최초의 스모 절회에 대한 기록이다. 같은 해 8월 25일, 소가노 에미시가 기우제를 위해 대승경전을 낭독시켰지만, 약간의 비만 내리고 효과가 없었기 때문에 8월 29일에 그만두었다. 하지만 8월 31일, 고교쿠 천황이 남연의 강가에서 무릎을 꿇고 사방을 향해 절하며 하늘에 기도하자 천둥이 치고 큰 비가 내렸다. 비는 5일간 계속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일을 민중이 칭찬하여 "지덕이 넘치는 대왕"이라고 불렀다.[21] 같은 해 10월 1일, 백제대사의 건립과 선박의 건조를 명했다. 10월 17일에는 궁실을 짓는 것을 명했다. 같은 해 1월 16일, 오하라다노미야로 행차했다.

고교쿠 천황 2년(643년) 5월 21일(50세)에는 아스카이타부키노미야로 행차했다. 12월 16일, 소가노 이루카가 야마시로노오에노 왕을 공격했고, 12월 26일에 야마시로노오에노 왕은 자결했다.

고교쿠 천황의 첫 번째 치세 동안 소가 씨가 권력을 잡았다. 고교쿠 천황의 아들 나카노오에 황자는 쿠데타를 계획하여 고교쿠 천황의 옥좌 앞에서 궁정에서 소가노 이루카를 살해했다. 이 사건에 충격을 받은 고교쿠 천황은 왕위를 물려주었다.

고교쿠 천황은 4년 동안 통치했다. 고교쿠 천황의 치세는 학자들에 의해 어떤 연호나 연호와도 연결되지 않는다.[9] 연호(''넨고'')는 시대의 명칭을 정하는 다이카 시대의 혁신이었지만, 고교쿠 천황 아들의 너무 짧은 치세 동안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2. 3. 을사의 변 (645년)

645년 7월 10일, 나카노오에 황자 등이 고교쿠 천황이 있는 궁중에서 소가노 이루카를 죽이고, 다음날 이루카의 아버지인 소가노 에미시가 자결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을사의 변, 다이카 개신)[37]

이 사건에 충격을 받은 고교쿠 천황은 사건 다음날인 7월 12일, 동생인 가루 황자(고토쿠 천황)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이는 일본 역사상 최초의 천황 '''양위(퇴위)'''로 여겨진다.[37]

을사의 변은 소가 씨뿐만 아니라 소가 씨에게 그만큼의 권력을 주었던 고교쿠 천황의 왕권 자체에 대한 이의 제기였으며, 실질적인 왕 살해로 볼 수 있다. 다만, 주모자인 나카노오에 황자는 고교쿠의 친아들이었고, 실제로는 대신 소가 씨를 멸망시킴으로써 이의를 제기했으며, 고교쿠는 살해되는 대신 강제적으로 퇴위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렸다.[37]

3. 고교쿠 천황 재위 기간 (642년 ~ 645년)

비다쓰 천황의 증손녀이자 조메이 천황의 황후였던 고교쿠 천황은 642년 1월 15일 49세의 나이로 일본 역사상 두 번째 여자 천황으로 즉위했다. 슬하에 나카노오에 황자, 오아마 황자, 고토쿠 천황의 황후 하시히토 황녀를 두었다.

고교쿠 천황의 당시 칭호는 ''천황''이 아니라 "천하를 다스리는 위대한 여왕"을 의미하는 ''스메라미코토'' 또는 ''아메노시타 시로시메스 오키미''(治天下大王)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혹은 "야마토의 대여왕"을 의미하는 (야마토노 오키미/오키미)로 불렸을 수도 있다.

고교쿠 천황의 첫 재위 기간은 4년(642년 ~ 645년)으로, 이 시기는 연호와 연결되지 않는다.

즉위 직후인 642년 3월 5일, 아즈미노히라후가 백제 조문 사신을 동반하고 귀국했고, 5월 12일에는 추방된 백제 왕족 교우키가 수행원을 데리고 일본에 왔다. 같은 해 8월 22일, 백제 사절을 대접하고 겐지에게 명하여 교우키 앞에서 스모를 하게 했는데, 이는 스모 절회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

642년 8월 31일, 가뭄이 들자 고교쿠 천황이 직접 남연의 강가에서 사방을 향해 절하며 하늘에 기도를 올렸고, 5일간 비가 내려 백성들이 "지덕이 넘치는 대왕"이라고 칭송했다.[21]

643년 5월 21일, 아스카이타부키노미야로 거처를 옮겼다.

645년 7월 10일, 나카노 오오에노 황자 등이 궁중에서 소가노 이루카를 살해하고, 다음날 소가노 에미시가 자결하는 을사의 변이 일어났다. 이 사건에 충격을 받은 고교쿠 천황은 고토쿠 천황에게 양위했는데, 이는 일본 역사상 최초의 천황 '''양위(퇴위)'''로 기록된다. 이후 고토쿠 천황으로부터 황조모존(皇祖母尊)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3. 1. 소가 씨의 권력 장악

소가노 에미시(蘇我蝦夷)와 소가노 이루카(蘇我入鹿) 부자는 고교쿠 천황의 첫 번째 치세 동안 권력을 잡았다.[39]일본서기》에 따르면, 소가노 에미시는 대신으로서 존중받았고, 그의 아들 소가노 이루카는 스스로 국정을 맡았다고 한다.[21]

643년 11월 1일(12월 16일), 소가노 이루카는 야마시로노오에 왕을 공격했고, 11월 11일에 야마시로노오에 왕은 자결했다.

645년 6월 12일, 나카노 오오에노 황자(中大兄皇子) 등은 고교쿠 천황이 있는 궁중에서 소가노 이루카를 죽이고, 다음날 소가노 에미시가 자결했다. (을사의 변, 다이카 개신).[37]

3. 2. 대외 관계

655년 고구려, 백제[23], 신라[24]가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에미시와 하야토도 무리를 이끌고 와서 조헌했다.

한반도의 여러 국가와 사신을 교환하고, 당나라에도 사신을 파견했다. 660년 백제당나라신라에 의해 멸망하자, 일본에 인질로 있던 백제 왕자 부여풍장을 백제로 보냈다.

3. 3. 기타

아리마 황자의 변 때, 소가노 아카에는 고교쿠 천황의 세 가지 실정을 다음과 같이 꼽았다.[25]

  • 큰 창고를 지어 백성의 재물을 쌓아 모은 것
  • 긴 도랑을 파서 공공 재산을 낭비한 것
  • 배에 돌을 싣고 운반하여 언덕을 만든 것


이러한 대규모 토목 공사는 아스카 분지와 그 주변을 궁도로 정비하려는 계획의 일부였다는 견해도 있다.[25]일본서기』에 따르면, 잦은 공사로 노역이 힘겨워 백성들의 비판이 있었다고 한다.[22]

4. 사이메이 천황 재위 기간 (655년 ~ 661년)

고토쿠 천황이 사망하자, 황태자 나카노오에 황자(덴지 천황)는 어머니를 사이메이 천황으로 다시 즉위시키고 자신은 황태자로 남아 정치를 이끌었다.[39] 그녀의 재위 기간 동안 백제가 멸망하였다.

661년 사이메이 천황은 혼슈 야마토 지방의 수도에서 육해군을 이끌고 출발하여 세토 내해를 가로질러 서쪽으로 이동했다. 천황은 이요 지방 이시유 임시궁(오늘날 도고 온천)에 머물렀다. 5월에는 규슈 쓰쿠시 지방 북부에 있는 아사쿠라 궁(현재 후쿠오카현)에 도착했다. 일본-백제 부흥 세력 연합군은 신라와 전쟁을 준비하였지만, 661년 7월 사이메이 천황은 아사쿠라 궁에서 사망하였다.[39] 그녀의 장례식은 11월 나니와(오사카)에서 치러졌다.

사이메이 천황의 통치 기간 동안, 한반도의 여러 국가 및 당나라와 사신을 교환했다.

연월일(서기)좌대신우대신내신
사이메이 천황 원년 1월 3일
(655년 2월 14일)
거세노 도쿠타 (유임)나카토미노 가마타리 (유임)
사이메이 천황 4년 1월 13일
(658년 2월 20일)
| 나카토미노 가마타리



궁내청은 이 장소를 고교쿠/사이메이 천황의 능묘로 지정하고 있으며, 공식 명칭은 ''오치노 오카노에노 미사사기''이다.[16]

4. 1. 재즉위 (655년)

고토쿠 천황이 사망하자, 황태자였던 나카노오에 황자는 자신의 어머니를 다시 천황으로 즉위시켰다. (사이메이 천황)[39] 이는 일본 역사상 유일한 중조(重祚)였다. 나카노오에 황자는 황태자로 남아 실질적인 정치를 주도했다.

  • 사이메이 천황 원년(655년)
  • * 7월 11일 - 북쪽과 동쪽의 에미시, 백제의 조사신 등에게 연회를 베풀었다.
  • * 8월 1일 - 가와베노 마로가 당나라에서 귀국하였다.
  • * 10월 13일 - 오와다에 궁을 지으려 했으나 중지하였다.
  • * 겨울 - 아스카 이타부키노미야에 화재가 발생하여, 아스카 가와라노미야로 거처를 옮겼다.


연월일(서기)좌대신우대신내신
사이메이 천황 원년 1월 3일
(655년 2월 14일)
거세노 도쿠타 (유임)나카토미노 가마타리 (유임)


4. 2. 백제 부흥 운동 지원

斉明天皇일본어 5년(660년)에 백제당나라신라에 의해 멸망했다.[39] 백제 멸망과 유민들의 항전을 알게 되자, 일본은 백제 왕조 부활을 돕기 위해 백제 유민들을 지원했다. 인질로 일본에 머물고 있던 백제 왕자 풍장을 백제로 보냈다. 백제를 돕기 위해, 난파로 옮겨 무기와 선박을 만들게 했고, 더 나아가 세토 내해를 건너 지쿠시의 아사쿠라 궁으로 거처를 옮겨 전쟁에 대비했다.[33] 661년 초, 斉明天皇일본어야마토국의 수도를 떠나 군대를 이끌고 한반도로 원정을 가는 계획을 세웠다.

斉明天皇일본어는 현재 도고 온천이 있는 이요국의 이시유 임시 궁에 머물렀다. 5월에는 후쿠오카현의 일부인 규슈쓰쿠시국 북부에 있는 아사쿠라 궁에 도착했다. 일본과 백제의 연합군은 신라와의 전쟁을 준비하고 있었지만, 斉明天皇일본어의 죽음으로 인해 그 계획은 좌절되었다. 원정군이 출발하기 전인 661년, 斉明天皇일본어는 아사쿠라 궁에서 붕어했다. 10월에 그녀의 시신은 규슈에서 해로를 통해 나니와 항구(오늘날의 오사카시)로 운반되었고, 11월 초에 국장이 거행되었다. 斉明天皇일본어 붕어 시에도 황자는 즉위하지 않고 칭제했으며, 박시진조 다쿠쓰(조선의 책임자)를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전면적으로 지원, 일본군은 한반도 남부에 상륙하여 백촌강 전투를 벌였으나, 당나라신라 연합군에게 패배했다.[33]

4. 3. 죽음과 백강 전투 (661년)

661년, 사이메이 천황은 규슈 쓰쿠시 지방 북부의 아사쿠라 궁(朝倉宮, 현재의 후쿠오카현에 위치)에 도착했다. 일본-백제 부흥 세력 연합군은 신라와 전쟁을 준비하고 있었으나, 그해 7월, 사이메이 천황은 아사쿠라 궁에서 6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39]

사이메이 천황 사후, 백강 전투(백촌강 전투)에서 나(羅)·당(唐) 연합군에게 대패하면서 백제 부흥 운동은 좌절되었다. 일본군은 백제 부흥 세력에게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고 당나라군에게 몰살에 가까운 참패를 당했고, 결국 백제 멸망을 막지 못했다.[39]

5. 연표

6. 평가와 의의

고교쿠 천황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기타 평가로 나눌 수 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일본 역사상 유일하게 두 번 즉위한 여성 천황이라는 점이 특별하게 평가된다.[39] 이는 여성의 정치 참여가 제한적이었던 고대 일본 사회에서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또한 백제 부흥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한민족 연대라는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소가 씨의 전횡을 방관하고 권력을 내맡겼다는 비판이 있다.[37] 백강 전투 패배로 백제 부흥 운동이 좌절되고, 일본한반도에서 영향력을 상실하게 된 점도 부정적으로 평가된다.

기타 평가로는, 고교쿠 천황(사이메이 천황)의 재위 기간이 일본 고대사에서 중요한 전환기였으며, 이 시기 사건들이 일본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 있다.[39]

6. 1. 긍정적 평가

고교쿠 천황은 일본 역사상 유일하게 두 번 즉위한 여성 천황이라는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39] 이는 여성의 정치 참여가 제한적이었던 고대 일본 사회에서 매우 이례적인 일로 평가된다.

또한, 고교쿠 천황은 백제 부흥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백제가 멸망한 후, 부흥을 위해 노력한 기실 복신의 요청을 받아들여 대규모 군대를 파병하였다.[23] 비록 백강 전투에서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패배하여 백제 부흥은 실패했지만, 이러한 지원은 한민족 연대라는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6. 2. 부정적 평가

소가 씨의 전횡을 방관하고, 오히려 그들에게 권력을 내맡겼다는 비판을 받는다.[37] 첫 번째 재위 기간 동안 소가 씨가 권력을 잡고 있었으며, 아들 나카노오에 황자(덴지 천황)가 소가노 이루카를 처형한 것에 충격을 받아 양위하였다는 사실은 이러한 비판을 뒷받침한다.[39]

백강 전투 패배로 백제 부흥 운동이 좌절되고, 일본한반도에서 영향력을 상실하게 된 점은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661년 사이메이 천황이 사망하고 한반도로 파병한 병력은 백강 전투에서 신라에 크게 패하였고, 결국 백제 멸망을 막지 못했다.

6. 3. 기타 평가

고교쿠 천황(사이메이 천황)의 재위 기간은 일본 고대사에서 중요한 전환기였으며, 이 시기 사건들은 일본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39] 일본 역사에서 여성 천황은 드물었지만, 고교쿠 천황을 포함하여 총 8명의 여성 천황이 있었다. 그러나 겐메이 천황겐쇼 천황의 사례를 제외하면, 여성 천황의 계승자는 대부분 황족 남성 중에서 선택되었다.

7. 고교쿠 천황/사이메이 천황이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문서 Imperial Household Agency
[2] 문서 Kunaichō http://www.kunaicho.[...]
[3]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4] 서적 Gokanshō 1979
[4] 서적 Jinnō Shōtōki 1980
[4]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5] 서적
[6] 서적
[7] 서적 Nihongi 2005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웹사이트 Kengoshizuka Kofun Tumulus, Koshitsuka-gomon Kofun Tumulus http://asuka-japan-h[...] 2023-10-20
[13] 뉴스 Octagonal burial mound said to belong to ancient Japan empress reconstructed in Nara Pref. https://mainichi.jp/[...] 2023-10-20
[14] 뉴스 Nara tomb said that of seventh century empress http://search.japant[...] Japan Times
[15] 뉴스 Tomb identified as that of 7th-century Empress Saimei http://www.japantoda[...] Japan Today
[16] 서적
[17] 서적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서적 古代の漏刻と時刻制度 吉川弘文館 2020
[26] 웹사이트 苫小牧駒澤大学:駒大在学生応援:インターネット講座■ 第4回 北海道と胆振地方の古代史 http://www.t-komazaw[...]
[27] 문서
[28] 웹사이트 余市町でおこったこんな話 その158「『余市』の刊行と阿倍比羅夫(その2)」|まちの紹介 |北海道余市町ホームページ https://www.town.yoi[...]
[29] 문서
[30] 서적 樺太史の栞 樺太庁 1941
[31] 뉴스 消えた北方民族の謎追う 古代「オホーツク人」北大が調査。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09-02-04
[32] 뉴스 オホーツク人のDNA解読に成功ー北大研究グループー http://www.okhotsk.o[...] 北海道新聞 2012-06-18
[33] 서적 神話と歴史 吉川弘文館 2006
[34] 웹사이트 斉明天皇(3)「狂心」と非難された無謀な運河開削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2-03
[35] 뉴스 帝斉明天皇の陵墓と特定 奈良・牽牛子塚古墳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0-09-09
[36] 서적 古代政治史における天皇制の論理 吉川弘文館 1986
[37] 논문 七世紀における倭王権の展開過程 吉川弘文館 2009
[38] 서적 善光寺縁起ものがたり 光竜堂 2009-04-01
[39] 웹사이트 백제 구원의 여신, 사이메이 천황 http://www.press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